반응형 사회복지정보/건강정보65 경기도 '도민건강 안전망' 2탄 '중증장애인 치과진료비 지원사업' 경기도 도민건강 증진을 위한 공공의료 서비스 제2탄 '중증장애인 치과 진료비 지원사업'이란? 혼자서 이를 닦거나, 이가 아파도 치과를 찾아가기 어려운 장애인에게 치과의료 서비스 접근성을 높이고, 구강을 위생적으로 관리하거나, 전문적인 치과진료를 제공하고, 치과진료비 본인부담금을 지원하여, 구강질환 관리 및 예방등을 통해 경기도 거주 장애인 여러분들의 건강하고 행복한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사업입니다. ▒ 목 차 ▒ 01. 지원 내용 02. 지원 기준 03. 지원 범위 04. 구비 서류 05. 서비스 신청방법 06. 문의처 01. 지원 내용 경기도에 거주하는 중증장애인 분들에게 치과치료에 대한 본인부담금 최대 200만 원을 지원합니다. 02. 지원 기준 ▶ 치과적 중증장애인 ① 경기도에 6개월 이상 거주하고.. 2023. 11. 19. 경기도 '도민건강 안전망 ' 1탄 '무료 이동 진료 사업' 경기도 '도민건강 안전망' 구축을 위한 '공공보건 의료 서비스 ' 1탄 '무료이동진료사업'은, 경기도 도민의 건강하고 행복한 삶의 질을 보장하기 위하여, 경기도 내 저소득층 노인, 장애인, 낙후지역 및 의료 취약지역 주민, 재해재난 지역 주민을 위한 공공보건 의료 서비스입니다. 무료이동진료사업은 1999년부터 추진된 사업으로, 현재는 경기도의료원에서 위탁받아 시행하고, 경기도의료원 수원병원(경기남부권역)과 경기도의료원 의정부병원(경기북부권역)으로 나누어 이동진료반이 순회 방문 진료를 합니다. 지원대상자 ▶ 경기도 내 저소득층 노인, 장애인 ▶ 낙후지역 및 의료 취약지역 주민 ▶ 재해재난 지역주민 지원내용 ▶ 한방진료 : 기초검사 (혈압, 혈당등) 필요시 빈혈검사, 한방진료 및 약조제등 ▶ 치과진료 : 불.. 2023. 11. 19. 노년기에 더욱 무서운 골다공증 적극적 치료만이 최선입니다. 골다공증은 뼈가 약해지고, 양이 줄어들어 부러지기 쉬운 상태가 되는 질환으로, 여성의 경우는 50세 전후에 폐경이 되면서 골량 및 골밀도 손실이 빠르게 일어나며 골다공증의 위험이 커지고, 남성의 경우는 여성보다는 골량이 많고, 소실속도가 느려 비교적 늦게 시작하나 70세 이상의 남성노인들에게 골다공증이 생길 수 있습니다. 골다공증은 증상이 없다가 골절이 발생한 후에야 발견되는 '침묵의 질환'이기도 하지만, 일단 골절이 발생되면 활동성이 제한되어 삶의 질이 떨어지며, 특히 고관절에 골절이 생긴 경우는 사망률이 20%까지 되는 무서운 질병으로 반드시 적절하고도 적극적인 치료와 관리가 필요한 질병입니다. ▒ 목 차 ▒ 01. 골다공증의 원인 02. 골다공증의 증상 03. 골다공증 진단 04. 골다공증의 치료 .. 2023. 11. 8. 무료 국가건강검진 받으세요 01. 국가건강검진은? 국가 건강검진은 고혈압, 당뇨, 간장질환, 신장질환, 대사증후군등 생활습관과 관련된 질환을 조기 발견하여 치료하고, 지속적인 생활습관 개선을 통하여 건강한 삶을 유지하기 위해 국가에서 시행하는 검진입니다. 02. 국가건강검진 기간 1차 (일반검진 및 암검진) (기간 : 당해연도 1월 ~ 12월 ) 확진 검사 일반검진결과 질환의심자 (기간 : 다음연도 1월 31일까지) ▶ 홀수연도 출생자 → 홀수연도가 검진연도 ▶ 짝수연도 출생자 → 짝수연도가 검진연도 03. 건강검진 대상자 1> 건강보험가입자 : 지역세대주 및 만 20세 이상 세대원과 피부양자, 직장가입자 및 만 20세 이상 세대원과 피부양자 2> 의료급여수급자 : 20~64세 세대주 및 만 40세~64세 세대원 중 당해연도 검진.. 2023. 9. 2. 이전 1 ··· 13 14 15 16 17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