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회복지정보/건강정보

여름철 열나고 감기증상, 말라리아 검사하기

by 너굴뻐리 2024. 6. 15.
반응형

말라리아는 말라리아 원충에 감염된 모기가 매개체가 되어 옮기는 질환으로, 우리나라에서는  '학질'이라고도 불리며, 제3급 감염병으로 지정 관리되고 있습니다. 

말라리아는 대부분 열대지방에서 많이 발생하고, 우리나라는 1979년 없어졌다가, 1993년부터 재출현, 발생빈도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열대지역을 여행하고 귀국하였거나,  여름철 말라리아 위험지역인 경기도 북부, 인천, 강원도 지역에 거주,  또는 그 지역에서 군복무를 한 경우, 오한과 고열, 두통 식욕부진등 증상이 있으면,  감기 외에도 말라리아 검사를 받아보아야 할 것입니다.   

아래에서는 말라리아 위험지역 & 잠재적 위험지역, 증상, 진단방법, 치료방법, 예방수칙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목 차  ▒ 

01.  말라리아 위험지역 & 잠재적 위험지역 

02.  말라리아 증상   

03.  진단 방법   

04.  치료 방법   

05.  예방법  

06.  문의처  

 

열나고 감기증상 말라리아 설명

 

01. 말라리아 위험지역 & 잠재적 위험지역 

말라리아는 5월부터 10월 사이 주로 인천, 경기 및 강원 북부지역등에서 환자가 많이 발생합니다. 

말라리아는 말라리아 원충에 감염된 모기가 매개가 되어 사람에게 옮기는 질환으로, 매개모기는  풀숲이나 웅덩이 근처에 서식하면서 주로 야간시간 (밤 10시부터 새벽 4시)에 활동합니다. 

 

▶  말라리아 위험지역   :

지역 도시명
인천 강화군, 계양구, 남동구, 동구, 미추홀구, 부평구, 서구, 연수구, 옹진군, 중구  등 (10개 지역 )
경기 가평군, 고양시, 구리시, 김포시, 남양주시, 동두천시, 양주시, 연천군, 의정부시, 파주시, 포천시 등 (13개 지역)
강원 고성군, 양구군, 인제군, 철원군, 춘천시, 홍천군, 화천군 등 (7개지역)

 

▶ 말라리아 잠재적 위험지역  :

지역 도시명
서울 강서구, 마포구, 은평구, 종로구, 성북구, 강북구, 도봉구, 노원구, 중랑구, 광진구, 강동구 등 (11개 지역)
경기 부천시, 시흥시, 하남시, 광주시, 양평군 등 (5개지역)
강원 속초시, 강릉시 등 (2개지역)

 

02. 말라리아 증상

▶ 초기증상  :  오한, 발열, 발한등이 나타나, 48시간 주기로 반복(삼일열 말라리아)

▶ 두통, 설사, 구토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도 있습니다. 

▶ 말라리아 잠복기  :  7일 ~ 12개월로 다양하여, 모기에 물린이 후 오랜 시간이 지난 후에,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03.  진단 방법

▶ 신속한 치료를 위한 신속진단키트를 이용 15분 만에 진단하고

▶ 팔의 혈액을 채취해, 말초혈액도말검사 (혈액 속 혈구의 크기 및 모양을 관찰)로 감염질환의 원충 또는  특이유전자 확인 판단.

 

04.  치료 방법

▶ 원충의 종류, 해외유입의 경우, 여행한 지역에 따라 말라리아 약제의 내성과 투약해야 하는 약이 달라지므로, 전문의사의 처방을 받아야 합니다.   약을 잘못 사용하면 치료에 시간이 오래 걸리고, 또  치료시기를 놓쳐 사망에 이를 수 도 있습니다.   검사를 통해 정확한 진단을 받아 전문의사의 치료를 받아야 합니다. 

 

▶ 말라리아의 후유증으로 비장이 비대하여져 파열되거나, 중추신경계에 이상이 와, 기억상실, 경련, 정신분열 등 이상행동이 발생하기도 합니다. 

 

05. 예방법

▶ 방충망 정비, 모기장 사용  :  실내로 모기가 들어오지 못하도록 방충망의 틈새를 점검하고, 모기가 많은 경우 취침 시 모기장을 사용합니다. 

▶ 야외활동 시 밝은 색 옷 착용  :  모기는 어두운 색을 좋아하므로, 야외 활동 시 밝은 색의 옷을 착용합니다.

▶ 야간 활동 자제  :  모기는 야간시간에 활발히 활동하므로, 해 질 무렵부터 새벽까지 야간시간의 활동을 자제합니다. 

▶ 모기 기피제, 살충제 사용  :  모기가 많은 곳을 가거나, 피하기 어려운 경우, 허가받은 모기기피제 나 살충제를 사용합니다. 

 

06.  문의처  

▶  감염이 의심되거나 문의사항이 있을 시,  각 지역 보건소 감염병관리팀에 문의합니다.  

반응형